'채권'이란
채권은 정부, 공공기관, 특수법인 등과 주식회사의 형태를 갖춘 기업이 비교적 거액의 장기자금을 일시에 대량으로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이다.
*조달 : 자금이나 물자 따위를 대어주다. *차용증서 : 금전을 빌려 쓴 내용을 증명하는 문서.
Q)채권은 어느 때 사면 좋을까? /채권의 매입 적정시기는 언제인가.
<주식과 채권의 차이>
주식은 순이익 발생여부에 따라 배당정책이 달라지지만, 채권은 적자가 발생하더라도 이미 확정되어 있는 이자를 지급 해야 한다.
즉, 채권은 수익의 발생여부와 관계없이 이자를 지급 해야 한다.
<채권 투자의 장단점>
장점(수익성, 안정성, 유동성)
1. 수익성
채권을 보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수익 2가지 '이자소득', '자본소득'이 있음.
'이자소득'은 발행 시에 정해진 이율에 따라 이자를 지급받는 것
'자본소득'은 채권의 유통가격이 변동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시세차익 또는 차손을 의미.
채권수익의 종류는 1. 이자소득 2. 자본소득 총 2가지임.
2. 안정성
큰 회사나 정부 등에 의해 발행되고, 신용등급 평가에 의해 정보 공개가 이뤄짐으로 비교적 안정성이 높다.
3. 유동성
언제든지 현금화가 가능하고 주식과 달리 당일 결제 처리로 매도 당일에 출금이 가능하다.
단점(손실 가능성, 채무불이행, 유동성 위험)
1. 손실 가능성
일반적인 채권 가격은 시장금리, 발행기관의 신용 변화에 따라 변동하며, 시장가격이 매입가격 보다 낮아졌을 때 '자본 손실의 가능성'이 있다.
2. 채무 불이행
발행기관의 경영, 재무상태 악화로 약정이자,원근 지급이 지연되거나 지급 불능 상태가 되어 '채무 불이행'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3. 유동성 위험
채권 발행물량이 적고, 유통시장이 발달되지 못한 경우 채권을 현금화 하기 어려워 '유동성 위험'이 존재한다.economy
'Economy and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의미와 장단점 (0) | 2021.12.15 |
---|---|
예금자 보호제도 (0) | 2021.10.19 |
투자할 때 필요한 지식 '환헤지' (0) | 2021.08.06 |
양도, 배당 소득세 (0) | 2021.07.24 |
금융(경제)공부를 해야하는 이유 / (부자가 되기 위한 방법) (1) | 2021.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