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 and Finance

투자할 때 필요한 지식 '환헤지'

by 물리학자 2021. 8. 6.
반응형
SMALL

'환헤지'란
투자, 수출, 수입 등 거래시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에 대비해 환율을 현재 시점의 환율에 미리 고정하는 것


환율이 오를 경우의 이익을 포기하는 대신 환율이 내릴 경우의 손해를 막는 것
즉, 환율 변동에 대한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환헤지의 목적이다.

주식으로 예를 들자면


주식 200만 달러 매수 현재 환율 환율 1000원이면 나의 주식은 20억원 이다. but 환율 800원으로 떨어지면 16억원으로 이익이 줄어드는 것임. 위와 같이 환율 변동에 대한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환헤지의 목적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자


A와 B는 서로 미국 ETF에 투자했다. A는 환헤지가 되는 ETF B는 환헤지가 되지 않는 환노출형 ETF에 투자했다. 미국 증시가 상승세를 보인 후 A와 B의 수익률을 비교해보니 B가 A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달러화의 가치가 원화보다 올라가면서 환노출형 ETF수익률이 덩달아 올랐기 떄문이다.

환헤지를 어떨 때 고려하면 좋을까?

*해외 펀드 투자나 ETF할 때 고려할 점

해당국의 통화가치가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면 환헤지를 하고, 반대로 해당국의 성장세가 뚜렷해 통화가치가 오를 것으로 기대하면 환헤지를 안하면 된다. 그러나 환헤지를 선택할 경우에는 환율 등락 위험을 제거하는 대신 일정 수수료를 부담 해야한다.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