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배움에 대한 뜻이있고, 목적이 있는 이들이게는 학교에서 배운지식이 충분히 공부가 될 수 있다고 본다. (호기심을 해결 할 수 있기 때문)
하지만 그렇지 않은 이들에게는 공부가 될 수 없다.
공부라는 것은 호기심을 해소하는 과정이고, 이것이 진짜 공부라고 생각한다.
배우는 것에 대해 호기심이 없는 입장에서는 관심 밖의 내용이기 때문에 당연히 수동적인 자세를 취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학교와 집 등 여러매체들은 공부의 의미도 모른체 공부를 해야 한다고 강요를 통한 무언의 압박을 가하고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하고 하는 이들은 무시하고 공적인 공부만이 공부라고 여기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어떻게 공부가 재미있을 수 있을까?
사람들은 공부를 왜 해야되는지 잘 모르는 것 같다. 대부분이 수동적인 공부를 하는 것 같아서 개인적으로는 참 안타깝다고 생각한다.
보여주기 식의 공부(수치와 간판을 나타내기 위한)보다는 스스로의 호기심을 해결하고 스스로에게 득이 될 수 있는 그러한 공부를 하면 좋겠다.
공부를 통해서 돈을 벌 수도, 좋은 학교를 갈 수도 있고, 좋은 직장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사실이나
그전에 내가 필요로 하는 공부는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생각해보고 그것에 대해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레 돈과 명예는 따라오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
LIST
'Philoso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의 가치관과 마음가짐 (0) | 2022.09.30 |
---|---|
죽음 (0) | 2021.09.15 |
20대 때 하면 좋을 것들 / 모든 연령에 해당 (0) | 2021.07.20 |
당신은 지금의 삶에 만족하십니까?("무지함은 삶의 독이다.") (0) | 2021.03.28 |
쓸모없는 것의 쓸모 (0) | 2021.02.08 |
댓글